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humbnail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한옥 특징과 관련항목

[6편] 구조를 세우다

by 한옥0413 2025. 6. 30.

– 기둥, 보, 지붕까지 전통 한옥의 뼈대를 이해하다


서론

한옥은 구조 그 자체가 미학이다. 전통 한옥의 구조는 단순한 기술적 조합이 아니라, 자연과의 조화와 철학이 반영된 설계 결과물이다. 특히 기둥, 보, 도리, 서까래로 이어지는 목조 구조 시스템은 오랜 시간 축적된 장인 기술을 바탕으로 성립되어 왔다.
본 글에서는 한옥의 구조적 특징과 부재 구성, 전통과 현대 기술이 결합된 구조 보강 방식 등을 중심으로, 한옥의 ‘뼈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론

1. 한옥의 기본 구조 체계

전통 한옥은 기둥-보-도리-서까래로 이어지는 목조 골조 시스템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벽체에 하중이 실리지 않고, 기둥과 보에 하중을 집중시키는 방식이 특징이다.

  • 기둥(柱): 건물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중심 구조물. 대부분 원형 통나무를 가공해 사용하며, 자연스러운 휨과 결을 그대로 살림.
  • 보(梁): 기둥 사이를 가로지르는 수평 부재로, 지붕의 하중을 기둥에 전달
  • 도리(道里): 여러 개의 보를 연결해 상부 구조물(서까래, 기와)을 지탱하는 보조 수평재
  • 서까래(椽): 지붕면을 형성하는 나무 부재. 기와를 얹을 수 있도록 경사 구조를 만들며, 곡선을 통해 미적 효과 제공

특징: 못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장부 맞춤 방식(짜맞춤)으로 부재를 연결하는 전통기법 적용


2. 전통 한옥 구조의 장점

  1. 내진·내풍 성능
    • 유연한 목재 구조는 지진과 바람에 대한 ‘흔들림 흡수’ 능력이 뛰어남
    • 기둥과 보의 맞물림이 진동 분산에 효과적
  2. 유지관리 용이성
    • 구조체가 노출되어 있어 점검 및 부분 보수 용이
    • 훼손 부재의 교체가 전체 해체 없이 가능
  3. 자연환기 구조
    • 서까래와 처마 구조를 통해 자연스러운 통풍 유도
    • 기와 밑 공기층은 단열 및 결로 방지 역할

3. 현대 기술과의 결합

현대 한옥은 구조 안전성과 단열 성능 강화를 위해 일부 구조 방식에 현대 기술을 병행 적용한다.

  • 기초 공법 보완: 전통적으로는 초석 위에 기둥을 세우나, 최근에는 철근콘크리트 기초 위에 기둥을 설치하여 안정성 확보
  • 보강 철물 사용: 보이지 않는 내부에 철물 보강재를 삽입하여 내진 성능 강화
  • 복합 구조 적용: 일부는 하부 콘크리트, 상부 목구조의 ‘하이브리드 구조’ 적용. 특히 2층 한옥에 유리함

✅ 유의사항: 구조 변경이 한옥 고유의 미학을 해치지 않도록, 외관은 전통 비례와 선을 유지하는 설계 필요


4. 장인의 역할과 시공 방식

한옥 구조는 정밀한 수작업을 요하는 만큼, 목수(대목장)의 숙련도가 구조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부재 가공은 대부분 현장 이전 ‘전통 제재소’ 또는 작업장에서 이루어지며, 조립은 현장에서 수작업 진행
  • 한옥은 대부분 건식 시공 방식이므로, 날씨 영향을 덜 받지만, 시공 기간은 상대적으로 길 수 있음

결론

한옥의 구조는 단순히 건축을 위한 틀을 넘어, 기술·미학·철학이 어우러진 전통 시스템이다.
기둥과 보로 구성된 구조체는 시대를 초월해 온 한국 건축의 정수이며, 현대 기술과의 조화를 통해 더욱 안전하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건축주는 구조 설계와 시공 단계에서 전통 방식의 의미와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긴밀하게 협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편에서는 이러한 구조물 위에 완성되는 한옥의 디테일과 마감 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다음 글 예고

[7편] 한옥의 디테일 – 마감재와 단열, 창호의 전통과 현대적 해석

'한옥 특징과 관련항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8편] 정성과 시간이 빚어낸 공간  (1) 2025.07.02
[7편] 한옥의 디테일  (0) 2025.07.01
[5편] 건축허가와 절차  (4) 2025.06.29
[4편] 설계의 시작  (2) 2025.06.28
[3편] 터를 닦다  (6) 202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