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humbnail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한옥 특징과 관련항목

한옥의 정원도 설화가 있다구요!

by 한옥0413 2025. 4. 29.
반응형

🌳 1. 정원에 심은 소나무는 조상신의 기둥이다

📍전해지는 지역: 전국 공통
🪄 설화 내용:

예로부터 한옥의 마당이나 정원에 소나무를 심는 것은 장수를 기원하고, 조상신이 머무는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소나무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기둥”이라는 말도 전해졌고, 특히 북쪽에 심은 소나무는 집안의 수호신처럼 여겨졌죠.

어느 마을에 한 부유한 양반이 있었는데, 새 집을 짓고 정원에 큰 소나무를 베어냈습니다. 그 후로 가족에게 병이 들고, 우환이 끊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마을 무당은 “조상신의 기둥을 잘랐으니 재앙이 따랐다” 하여, 다시 소나무를 심고 제사를 지내자 평안이 돌아왔다고 해요.

🌲 정원 속 소나무는 단순한 조경이 아니라, 기운을 지키는 수호목이자 조상의 은혜를 기억하는 공간이었습니다.


🌸 2. 매화나무 아래 여인이 남긴 편지

📍전해지는 지역: 경상도 안동 일대
💌 민담 내용:

옛날 어느 선비가 낙향하여 한옥을 짓고 매화를 사랑해 정원 한켠에 매화나무를 심었습니다. 매화가 피는 봄마다 그 아래서 글을 쓰고 시를 읊곤 했죠.

그런데 매년 봄밤이면 매화 아래에 붉은 치마 저고리를 입은 여인이 살며시 나타났고, 선비는 그녀와 서로 시를 주고받으며 마음을 나누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인은 다음 해 봄에 오지 않았고, 매화 아래에는 다음과 같은 편지만 남겨져 있었다고 해요.

"봄비 따라 피어났지만, 바람 앞에 질 수밖에 없는 이 마음, 이제 그대 곁을 떠나오."

선비는 그 뒤로 평생을 혼자 살며 매화만을 벗삼아 살았다고 합니다. 지금도 그 집 매화는 유난히 향이 짙다고 전해지며, 매화는 사랑과 기다림의 상징으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 3. 연못 속 연꽃 요정 이야기

📍전해지는 지역: 전라남도 담양
🪷 민간신앙+설화 결합:

조선시대 담양의 한 부자 집안 정원에는 아름다운 **연못(방지원도)**이 있었고, 그 가운데에는 작은 정자가 세워져 있었습니다. 여름이면 연꽃이 가득 피어 마을의 자랑이었죠.

어느 해, 그 집 막내아들이 밤마다 연못 정자에서 얼굴이 반쯤만 보이는 여인을 보았다고 합니다.
그녀는 “연못에 내 몸을 거두지 말라”는 말을 남기곤 사라졌고, 이후 그 집안에서 연못을 메우거나 손보려 할 때마다 병과 불운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동네 어른들은 이 정원을 연꽃 요정이 지키고 있다고 믿었고, 매년 음력 5월 초에 간단한 제를 올리며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살았다고 해요.

🌊 정원 속 연못은 단순한 경관이 아닌, 자연의 신령이 깃든 신성한 공간으로 여겨졌던 것이죠.


📚 보너스: 한옥 정원의 상징적 의미

  • 정원은 곧 하늘과 사람을 잇는 ‘작은 우주’
  • 바위 → , 연못 → 바다, 소나무 → 기둥, 대나무 → 청렴
  • 나무, 돌, 물, 바람 모두가 삶의 도리와 덕목을 상징

 

반응형